https://visualstudio.microsoft.com/ko/ 에 접속하고 Visual Studio Community 2022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 파일을 받습니다.
Visual Studio Community 2022는 학생, 오픈 소스 개발자, 개인 개발자 등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통합개발환경입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2022 커뮤니티 컴파일러를 VC++로 줄여서 씁니다.
C++를 사용한 데스크톱 개발을 클릭하고, 설치 버튼을 누릅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Visual Studio는 평가 기간이 지나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은 무료로 만들 수 있습니다.
C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과정입니다.
![]() |
1. 프로그램 작성 2. 컴파일
3. 링크
4. 실행파일 생성 |
Visual Studio에서는 프로젝트와 솔루션이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 솔루션 : 프로젝트 모음입니다. 솔루션에는 여러 프로젝트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 소스 파일, 헤더 파일 등의 모음입니다. 프로그램을 만들 때 필요한 파일과 각종 설정을 담고 있습니다.
![]() |
소스파일
헤더파일 |
C언어를 사용하려면 Visual Studio에서 솔루션과 프로젝트를 생성해야 합니다. 새 프로젝트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빈 프로젝트를 클릭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프로젝트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프로젝트의 이름을 입력하면 솔루션의 이름은 프로젝트의 이름과 동일하게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만들기 버튼을 누릅니다.
소스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에 추가와 새 항목을 클릭합니다.
C++ 파일을 선택하고 파일의 이름으로 hello.c를 입력합니다.
확장자명 .cpp를 .c로 바꿔줍니다.
Visual Studio는 소스파일의 확장자를 참조하여 C문법을 기준으로 컴파일할지, C++ 문법을 기준으로 컴파일 할지를 결정합니다.
(c를 사용할 경우 .c, c++을 사용할 경우 .cpp를 써줍니다.)
따라서 반드시 파일이름을 입력할 때 확장자 .c를 명시해야 합니다.
아래 프로그램 코드를 단순히 입력합니다.
#include <stdio.h>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n"); return 0; }
\은 글꼴에 따라 모양이 다르게 보입니다. 한국어 폰트에서는 [ \ ] 로 보이고, 영어 폰트에서는 [ \ ] 로 보입니다.
이제 소스코드를 입력하였으니, 이제 컴파일과 링크의 과정을 거쳐 실행파일을 생성해보겠습니다.
Visual Studio에서는 '솔루션 빌드'라는 메뉴를 통해 컴파일과 링크를 동시에 처리합니다.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빌드가 완료되면 실행파일이 생성됩니다.
[디버그] - [디버깅하지 않고 시작]을 선택해서 실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축키 (Ctrl+F5) 를 눌러서 실행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더 편한 방법이니까요.)
이러한 방법으로 Visual Studio에서 실행 파일을 바로 실행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솔루션 빌드로 컴파일 하지 않아도 (Ctrl+F5)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소스 파일을 컴파일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