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는 프로그래밍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컴퓨터 안에서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입니다.
변수를 데이터를 담아두는 '박스'라고 생각해도 괜찮습니다.
파이썬은 변수의 선언이 없으며 변수에 값을 넣는 순간 변수의 데이터 형식이 결정됩니다.

![]() |
![]() |
변수를 사용하려면 변수에 값을 대입합니다.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여 오른쪽의 것을 왼쪽에 대입합니다.

x = None
x에 None을 할당해줍니다.
>>> print(x)
None
print로 변수 x의 값을 출력하면 None이 나옵니다.
파이썬에서 None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 보통 다른 언어에서는 널(null)이라고 표현합니다.
x = 10
x = 20
처음에 x에 10을 할당하면 변수가 만들어집니다. 그 뒤 x에 다시 20을 할당하면 x의 값이 바뀌게 됩니다.
>>> print(x)
20
x, y, z = 10, 20, 30
변수이름1, 변수이름2, 변수이름3 = 값1, 값2, 값3 형식으로 변수를 ,(콤마)로 구분한 뒤 각 변수에 값을 지정해줍니다.
변수와 값의 개수를 동일하게 맞춰주면 나열된 순서대로 값이 할당됩니다.
>>> print(x)
10
>>> print(y)
20
>>> print(z)
30
x = y = z = 10
여러 개의 변수의 값이 모두 같아도 된다면 변수1 = 변수2 = 변수3 = 값 형식으로 변수 여러 개를 =로 연결하면 같은 값을 가진 변수 3개가 만들어집니다.
>>> print(x)
10
>>> print(y)
10
>>> print(z)
10
x = 10 y = x y
>>> print(y) 10
변수에는 값뿐만 아니라 다른 변수도 할당할 수 있습니다.
x = 10
y = 20
x, y = y, x
>>> print(x)
20
>>> print(y)
10
변수1, 변수2 = 변수2, 변수1 형식으로 두 변수의 값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으려면 input() 함수를 사용합니다.
input() 함수는 사용자의 입력을 문자열로 반환하기 때문에 int() 함수로 input을 묶어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합니다.
형식
변수 = int(input("안내 메시지"))
|
1
2
3
4
|
x = int(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y = int(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sum = x + y
print(x, "과", y, "의 합은", sum, "입니다.")
|
실행결과
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입력) 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4(입력) 3 과 4 의 합은 7 입니다.
사용자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으려면 단순히 input() 함수만 사용하면 됩니다.
형식
변수 = input("안내 메시지")
|
1
2
|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
print(name, "씨, 안녕하세요?")
|
실행결과
이름을 입력하세요 : 홍길동(입력) 홍길동 씨, 안녕하세요?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데이터입니다.
>>> a = 100
>>> print(a)
100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데이터입니다.
>>> a = 3.14
>>> print(a)
3.14
불(Bool) 데이터 형식은 참(True)이나 거짓(False)만 저장할 수 있으며, 논리형으로도 부릅니다.
>>> a = (1>2)
>>> print(a)
False
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입니다. 문자열은 양쪽을 큰따옴표(" ")나 작은따옴표(' ')로 감싸야 합니다.
>>> name = "홍길동"
>>> print(name)
홍길동
• 영문자와 숫자, 언더바(_)로 이루어 집니다.
• 중간에 공백이 들어갈 수 없습니다.
• 첫 글자는 반드시 영문자 또는 언더바(_)이어야 합니다.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
•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따라서 index와 Index, INDEX는 모두 다른 변수입니다.
• 특수문자(+,-,*,/,$,@,&,% 등)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파이썬의 키워드(if, for, while, and, or 등)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